본문 바로가기

여행이야기/여행

[거제여행] 동백섬 지심도 꽃은 떨어졌지만 역사는 그 자리에…(2/2)

728x90
반응형

[거제여행] 동백섬 지심도 꽃은 떨어졌지만 역사는 그 자리에... (2/2)


사진이 많아 2개의 게시물로 나누어서 포스팅합니다.

1부는 여기에서 보실 수 있어요.

2022.05.11 - [여행이야기/여행] - [거제여행] 동백섬 지심도 꽃은 떨어졌지만 역사는 그 자리에…(1/2)

 

[거제여행] 동백섬 지심도 꽃은 떨어졌지만 역사는 그 자리에…(1/2)

[거제여행] 동백섬 지심도 꽃은 떨어졌지만 역사는 그 자리에... (1/2) 2022년 4월의 마지막 날 동백꽃으로 유명한 거제 지심도를 다녀왔습니다. 동백꽃은 이미 다 떨어졌지만, 역사의 흔적은 고스

eyehole.tistory.com

 



북쪽 끝 망루까지 들어가서 바다를 한참이나 바라보다 다시 돌아서 나왔습니다.





태풍 때문인지 자연적인 현상인지 모르겠지만, 동백나무의 모양새가 특이하게 한쪽 방향으로 누워 있습니다.

동백나무는...

주로 바닷가 근처의 산지와 마을에 나는 상록 소교목으로 겨울(冬)에도 잎이 푸르다(栢)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생태적으로 온대 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조매화, 즉 동박새의 도움으로 가루받이를 한다.
잎은 광택이 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꽃은 이른 봄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붉은색이다.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합쳐져서 비스듬히 퍼지고, 수술은 많으며 꽃잎에 붙어서 함께 떨어진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3~4cm로서 검은 갈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에는 해안선을 따라 남해안과 도서지역에 주로 자생한다.

 

 

 

실제 지심도를 돌아보는 동안 동백꽃은 거의 보지 못했지만
동박새와 직박구리의 노랫소리는 정말 끊임없이 들리더라구요.


이 곳에 잠시 앉아 집에서 챙겨온 과일을 꺼내 먹었습니다.

머물지 않았던 것처럼 흔적은 남기지 않고 일어섰어요.



7. 활주로(해맞이 전망대)


섬의 가운에 위치한 활주로로 발길을 옮겼습니다.

섬 내부 안내판에는 "활주로" 라고 되어 있었는데,
최근 제작된 여행안내책자에는 "해맞이 전망대"로 명칭이 바뀌어 있었습니다.

 

 

 

해맞이 전망대 가는 길


터널 같은 곳을 지나오니 뻥 뚫린 넓은 공터가 갑자기 눈 앞에 펼쳐졌습니다.

예전에는 활주로, 지금은 해맞이 전망대입니다.

 

이 곳에서는 섬의 북쪽과 남쪽을 (동쪽과 서쪽) 동시에 조망할 수 있었습니다.

안내도에는 지심도가 옆으로 길게 누워 있지만, 실제로는 위아래로 길게 뻗어 있는 섬입니다.

위가 북쪽(지심도)


해맞이 전망대에서는 흔들 그네와 화장실도 있어 쉬었다 가기에 좋은 곳이었습니다.

 

러브러브하트상

서쪽 선착장 방향에는 "러브러브 하트상" 조형물이 있었는데요.
윤후명 소설의 '지심도 사랑을 품다' 의 사랑이 이루어지는 섬을 주제로 빚은 거라고합니다.


 

클로버꽃 위 벌을 찾아보세요.

잠시 쪼그려 앉아 네잎 클로버를 찾아 보아도 좋구요.
다만, 클로버 꽃에 앉아 있는 벌은 조심하셔야 할 겁니다.

 

 

무당벌레

어릴 때 무당벌레를 손가락 끝에 올려 놓고 경상도 사투리로

너거(너희) 집에 불났다
너거 집에 불났다


이렇게 계속 말하면 무당벌레가 자기 집으로 불 끄러 날아간다고 얘길했더니,
같이 갔던 가족들이 다들 '뭔 소리 하는 거야?' 라는 표정으로 절 쳐다 봅니다.

진짠데...ㅋ

 

 

 

 

8. 포진지

건설시기 : 1935.11.30 ~ 1938.1.27

섬의 남쪽에는 포진지와 탄약고가 있습니다.

포진지 가는 길

지심도 포대일본의 중국침략을 2년 앞두고 계획되었습니다.
1941년 태평양전쟁 당시 양지암 기지와 함께 진해해면 방비부대에 소속되어 미연합국과 일전을 준비하던 곳인데요.
1935년 11월 30일 구.일본군 참모본부에서 포대건설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양지암 기지

 

 

포진지


1936년 4월 23일 일본육군축성본부는 지심도에 거주하고 있는 10여 가구를 강제 이주시키고,
같은 해 7월 10일 포대를 착공하기에 이른다.
일본군은 지심도 내에 4곳의 포대를 설치하는데,
45식 15밀리 캐논포 4문, 38식 기관총, 96식 축원기 등을 각각 배치했다.

 

총 예산 1백46만5천원을 투여하여 군 막사, 초소, 경계표찰 등이 1938년 1월 27일 완공되었다.
또한 지심도 포대를 보호하기 위해 1936년 7월 8일 지심도 헌병분주소를 설치하고 총 4명의 인원을 배치하였다.

 

 

지심도 포진지

지심도 포대에는 일본군 1개 중대 약 100여 명이 주둔하고 있었다.
포진지 4곳은 모두 원형으로 동일한 형태인데 직경 18m의 방호벽을 만들고 그 안에 직경 4m의 포대를 만들었다.
방호벽의 높이는 1.5m 정도이고 남쪽과 북쪽에는 계단을 만들었다.
지심도 포대 4곳은 견고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현재도 원형 그대로 잘 남아 있다.
지심도 포대는 한반도 전역을 일제의 병참기지화로 만들계다는 계획에서 나온 것이다.

 


 

신기한 것은 저 포진지 안을 자세히 보니 "무당개구리" 수십?수백마리가 살고 있었습니다.

정말 징그러울 정도로 많은 개구리들이 폴짝폴짝 뛰어다녔습니다.

 


아마도 가운데 고인 물에 알을 낳아 부화된 개구리들이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길을 못 찾아 이 곳에 갇혀 있는 게 아닌가 생각되었습니다.

그 시절 일본군의 포진지는 이제 무당개구리의 집? 감옥?이 되었네요.

 

 

 

 

9. 탄약고


건설시기 : 1935.11.30 ~ 1938.1.27

탄약고는 지심도 포대를 건설할 때 함께 건설되었는데요.

80년이 훌쩍 넘어버린 세월에도 멀쩡하게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내부에는 전등을 설치하였고, 탄약이나 포탄을 저장하던 곳이라 콘크리트로 되어 있으며
지하 벙커식으로 4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탄약고 안에는 45식 15밀리 캐논포 탄환, 38식 기관총 탄환 등 각종 화약을 보관했는데요.
탄약고의 외부 좌우에 환기구 역할을 하는 구멍이 2곳이 있으며,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항아리 모양의 수로를 설치했습니다.


 

탄약고는 포대와 가까운 거리에 설치되어 포탄이나 탄약을 운반하는데 편리하도록 건설되었고,
정문은 부산쪽 방향이며, 후문은 쓰시마(대마도) 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모든 탄약고는 비탈진 곳에 은폐되어 있어 눈에 쉽게 발견할 수 없는 곳에 지어졌습니다.


현재 탄약고 내부에는 지심도의 생활상과 역사를 사진과 함께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지심도의 옛모습

1956년 11월 20일 일운면초등학교 지심분교장이 정식인가와 더불어
그 해 12월 22일 임시 가교사를 건축했으며, 1960년 4월 23일 신축 교사를 완공했다.
1982년에는 재학생이 35명이었다.
그러나 1994년 2월 28일자로 지심분교장이 폐교되었다.

 


지심도에도 1956년부터 1994년까지 약 38년간 지심분교가 있었다고 합니다.

졸업생들에게 이 곳 지심도는 또 어떤 의미를 가지는 곳일지 잠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최초의 도선이었던 안예호의 모습도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심도의 면적과 인구현황을 보면 1982년 17가구, 69명이 거주하였고,
경지 4ha, 임야 20ha, 2009년 14가구 25명이며 실제 거주자는 13가구 22명이다.
주민들은 1945년 9월 이후 일본군이 떠나면서 이전의 주민들이 들어와
지금까지 거주하고 있으며, 주로 생활경제는 밭농사, 유자 재배 정도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낚시꾼들의 좋은 낚시 장소로 알려져 있다.

 


여기저기 정보를 찾아보니 인구가 해마다 계속 변경되고 있는데,

가장 최근 자료에 나온 것을 보면 총 15가구 2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국방과학연구소 건물의 서쪽에 열한가구가 모여 있고 섬 중간에 한 가구

그리고 섬 북쪽 모서리에 세 가구가 살고 있다네요.

 

 

 

 

민박집의 이동수단

대부분의 민박집에서는 골프장에서 사용할 법한 카트를 이용해

민박집 손님을 픽업하거나 짐을 이송해 주고 있었습니다.

섬 내부의 길이 좁고 경사가 심해 아마도 골프카트가 최선의 선택이 아니었나 싶어요.







거제도 본섬과 가까운 지심도는 행정구역상 조선시대에 '거제현 고현면(일운면) 지심리'로 되었고, 
일제에 의해 '통영군 일운면 옥림리' 로 변경되었다가, 현재 '거제시 일운면 옥림리' 로 되었습니다.




10. 해안절벽

 

포진지와 탄약고를 관람한 뒤 다시 갔던 길을 되돌아 나왔습니다.

그리고 선착장 방향으로 걸어가다보면  민박집과 식당 건물들이 모여 있는 곳이 나오는데요.

남서쪽 끝에는 해안절벽이 있어요(왼쪽이 북쪽)

 

그곳의 삼거리 갈림길에서 남쪽 방향(위 지도의 오른쪽)으로 약 200m 를 더 걸어 들어가면

끝에 해안 절벽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바닷가를 보기에는 북쪽의 "해안선 전망대" 와 "망루"도 좋고,

이 곳 남쪽 끝의 "해안절벽"도 시원하게 풍광이 아주 좋았는데요.

다만, 이곳에서는 저 멀리 "서이말 항로표지관리소"와 "한국석유공사" 가 있는 망산으로 시야가 막혀 있어 

북쪽에서 바라보던 수평선은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예전에는 바다낚시도 제법 다니던 터라, 이런 곳을 보면 낚싯대를 드리우고 싶었을텐데

지금은 여러 가지 전략과 기술이 필요한 루어낚시를 하다 보니 크게 동요하지 않았습니다.

저 멀리 지나가는 배를 배경으로 가족들과 사진을 남기고 배 시간이 다 되어 선착장으로 향했습니다.

 

 

 

가게에서는 갖가지 해산물과 술안주뿐만 아니라 아이스크림, 동백기름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이하게 스타벅스 캡슐커피도 보이더라구요.

 

동백기름을 보고 괜히 혼자 속으로..

 

저 동백기름도 설마 중국산?

 

요즘 워낙 중국산이 많기도 하고, 아니면 제가 속세에 많이 찌든건지 이런 생각부터 먼저 들더라구요.

 

 

 

다시 선착장

 

지심도에서 장승포항으로 나가는 배편은 오후 4시 50분이 마지막 배편입니다.

지심도 섬을 한 바퀴 돌다보니, 이런 곳에서 하루 민박을 하며 보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배를 일부러 놓쳐버려?

 

풍향계의 바람개비가 신나게 돌아가고 있었습니다.

 

지심도는 [경상도속찬지리지] 에 지사도(只士島)로 기록되어 있으며,
또 다른 문헌에 지삼도(只森島, 知森島)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고 합니다. 
1980년까지만 해도 지삼도(知森島)와 지심도(只心島)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가 현재 지심도(只心島)로 굳어졌다고 하는데요.
일본군은 지심도를 보리섬(麥島), 맥도라고 부르기도 했다네요.

 



4월말 다들 철쭉을 보러 많이 다니던 시기에 저는 거의 다 떨어진 동백섬 지심도를 방문하였습니다.

동백꽃이 별로 없을 걸 알기에 방문하는 게 별로 내키지 않았는데요.

 

오히려 동백꽃이 지고 나니 지심도의 아픈 역사의 흔적이 고스란히 눈에 더 잘 들어왔습니다.

이번이 첫 방문도 아니었는데, 그 때는 왜 아무 것도 보지 못했을까요?

 

3월의 동백꽃 가득한 지심도도 매력적이지만,

동박새와 직박구리의 아름다운 노랫소리 가득한 4월의 지심도도 정말 좋았습니다.

 

 

 

 

 

지심도 안녕!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티스토리 댓글과 공감은 로그인이 필요 없습니다.
로그인하시면 구독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